제가 현재 생계급여 조건부수급자인데요 2024년부터 취업준비사유로 자활근로 면제받았고 2025년 12월까지 유지입니다.취업이 잘 안풀려서 2025년까지 해당 기간까지 취업이 어려울거같은데요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1. 만약 2025년 12월까지 취업이 안된다고 가정하면 기초생활수급자격 박탈되나요?제가 알기론 자활근로 참여하면 기초생활수급자격 일정기간 더 유지할수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맞을까요 제 나이는 98년생입니다.2. 제가 공기업 준비중이라 수급자 가점이 유지되는 것이 유리합니다. 생계급여는 받으면 좋지만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근데 지금 수급자증명서 떼보면 생계급여 조건부 수급자라고 되있던데 만약 자활근로 참여하지 않으면 생계급여만 안받고 주거급여, 의료급여만 유지되는 경우도 가능한가요? 그리고 이경우 수급자증명서 정상적으로 발급가능한가요?질문들이 두서가 없는데 대충 정리하면 2025년 말까지 취업준비 사유로 자활근로 면제받는 조건부 생계급여 수급자격이 유지됨+질문자는 현재 공기업 준비중, 98년생으로, 기초생활수급자격 유지하는 것이 가점때문에 유리함 (수급자증명서 발급이 가능해야하는 상태)+생계급여는 계속 수령하면 좋지만 받지 않아도 상관은 없음이상황에서,1. 자활근로 참여하면 2026년에도 생계급여를 수령하는 조건부 수급자로 유지 가능한지?2. 자활근로 만약 참여하지 않으면 수급자격이 아예 박탈되어 수급자증명서 발급이 어려운지? 아니면 생계급여만 나오지 않고 주거급여, 의료급여는 지속적으로 수령가능하여 수급자증명서 발급이 가능한지?
안녕하세요, 생계급여 조건부 수급 자격과 자활근로 참여 여부로 고민이 많으시겠어요. 현재 공기업 준비 중이시라 수급자 자격 유지가 중요하다는 점 충분히 이해됩니다. 아래에서 질문하신 내용을 기준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1. 자활근로 참여 시 2026년에도 생계급여 유지 가능한가요?
네, 자활근로에 참여하시면 생계급여 수급 자격은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현재는 ‘취업준비’ 사유로 2025년 12월까지 자활 면제 상태이시며, 이 기간 이후에는 자활근로 참여가 다시 요구될 수 있습니다.2026년에도 수급을 원하신다면, 자활근로에 참여하시는 것이 조건부 수급자격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2. 자활근로 미참여 시 수급자 자격 박탈되나요?
자활근로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생계급여는 중지될 수 있지만, 수급자 자격 자체가 완전히 박탈되는 건 아닙니다.조건부 수급자라도 자활근로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거나 불참하면생계급여는 중지될 수 있습니다.하지만주거급여, 의료급여는 각각 별도 기준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계속 수급 가능성이 있으며,이 경우에도수급자증명서 발급은 '기초생활수급자(의료급여/주거급여)' 자격으로 가능합니다.
제 답변이 기초생활수급 자격 유지 및 공기업 준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 주세요. 제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