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어 표현 관련 Jlpt문제를 풀다가挨拶や返事はきちんと声に出していこうではありませんか。라는 문장이 나왔는데 声を出して가 아니라 声に出して를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Jlpt문제를 풀다가挨拶や返事はきちんと声に出していこうではありませんか。라는 문장이 나왔는데 声を出して가 아니라 声に出して를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일본어 문법 뉘앙스 차이를 짚어드릴게요.
문장은
挨拶や返事はきちんと声に出していこうではありませんか。
(인사나 대답은 제대로 목소리 내어 해봅시다, 그렇지 않겠습니까?)
---
1. 「声を出す」
직역: "목소리를 내다"
단순히 소리를 낸다는 행위 자체를 가리킵니다.
예: 「大声を出す」(큰 소리를 내다) → 물리적으로 소리를 지른다는 의미.
---
2. 「声に出す」
직역: "목소리에 담아 내다"
머릿속이나 마음속에 있는 것을 실제로 소리로 표현한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예: 「気持ちを声に出す」(마음을 목소리로 표현하다)
글자만 읽는 게 아니라, 실제로 소리 내어 말하다/표현하다라는 의미.
---
3. 이번 문장에서 「声に出して」를 쓴 이유
「挨拶や返事」는 단순히 목을 써서 소리만 내는 게 아니라, 말이라는 형태로 목소리에 담아 표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声を出して」라고 하면 ‘그냥 소리를 낸다’는 뉘앙스라 인사나 대답과는 어울리지 않고,
「声に出して」라고 해야 "실제로 말로 표현하자"는 자연스러운 의미가 됩니다.
---
정리
声を出す → 단순히 소리를 내다 (행위 중심)
声に出す → 마음·생각·말 등을 실제 소리로 표현하다 (표현 중심)
즉, 문제 문장은 "인사와 대답은 마음속으로만 하지 말고, 실제 목소리로 표현해 보자"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声に出して」를 쓴 것입니다.
---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 해주시면 보다 좋은 답변을 다는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