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전기 메가테스터기 측정법 드립니다 현장에 일하고 있는 전기초보입니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판넬중 하나에서 차단기가
현장에 일하고 있는 전기초보입니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판넬중 하나에서 차단기가 떨어져서 누전을 잡는중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원인이 누전이면 절연저항 체크를 해서 0이 나오면 누전이 문제이고쇼트 합선 일경우 선끼리 붙거나 물리적인 문제가 생길경우 삑삑이 도통테스트해서 확인을 하였습니다여기서 궁금한건 선이 붙어 있을때는 절연저항이 0이 아닌 50 -100 옴정도 왔다갔다 하는데 누전이 아니라 합선 쇼트라서 절연저항에 저렇게 나오는 부분과밑에 그림처럼 2차측 선만 메가로 찍어보면 저항값이 0으로 나오는데 무었때문에 0으로 나오는건지선간절연저항? 이라고 하는것 같은데 관련 저항값은 기준이 얼마인지 왜그런건지 궁금합니다(현장상황은 마감상태로 기구와 등은 취부가 다되어 있고 판넬에는 LCP가 설치되어있습니다)(많이 습한 상황이라 판넬 내부에도 습기로 인해 물기가 있고 선과 차단기도 새걸로 교체함)
그런데.. 쇼트와 누전일때 측정을 어디에 연결을 해서 재셨나요?
쇼트와 누전의 차이는 배우셨을테니
쇼트도 발생 이후 누전으로 전환 될수도 있는거고..
쇼트(단락은) 두 상간 또는 상과 중성선(N)이 직접 접촉해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누전은 전류가 원래 흐르지 말아야 할 경로로 새어나가는 현상, 즉 접지로 새어 나가는 현상이 잖아요?
누전일때는 차단기 2차측에서 N상에 하나 물리고.. 핫상이나 N상에 한번씩 접촉하여 절연 측정을 하잖아요?
그러면 쇼트는? 말 그대로 상과 N상이 붙었다면 ...얼마나 붙었는지.. 두상을 찍어봐야 누전이 얼만큼 되엇는지 측정이 되는 것이죠
둘다 삑삑 도통 테스트가 아니라 메가 테스트로 해야죠..
물론 삑삑 도통 테스트로 삐~ 울릴 정도면 메가에서는 0메가오음이나 마찬가지입니다..
0메가 오음은 완전 쇼트(완전 누전)란 얘기고...
요즘은 절연 저항 기준이 0.2에서 1메가오음으로 바뀌었죠? 이거는 사람이 안전할수 있는 기준을 잡은 것이고..
그러나 메가 측정을 했을때 곡 0이 아니더라도 너무 현저하게 낮으면 절연이 많이 안좋아졌구나 혹은
이 놈이 차단기를 트립시킨 범인이겠구나 판단을 할수도 있겠죠.,.
(절연 저항 측정을 하다보면 원인을 제공한 곳이 다시 절연이 좀 좋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
사실 두선은 (접지가 아닌) 절연이 갈끔해야 정상입니다. 접지하고야 뭐 어느정도 흐를수도 잇지만
두선은 깔끔해야 정상입니다..
메가로 측정 했을때는 무한대가 나와야 하고 (아예 반응이 없을 수도 있음 왜냐 두선은 완전 떨어져 있어야 정상이기 때문) 그런데 이 두선을 측정할때는 ..부허측도 완전 분리가 되어 있어야 하겠죠
전기기기가 연결이 되어 있으면 돌아나오거나 일반 테스트기로는 저항겂이 더 올라갈수 있으니까)
일반 테스트기로 측정을 했을때는 정항겂이 올라가지 않는게 정상입니다.. (물론 기본 전선의 저항값은 약간 올라갈수도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