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도와주십쇼 안녕하세요 최근 반년간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제가 번개장터 사이트에
도와주십쇼 안녕하세요 최근 반년간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제가 번개장터 사이트에
안녕하세요 최근 반년간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제가 번개장터 사이트에 대학 소속이 자수로 되어있는 도복 구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해당 대학 입시중이라 구했으며 재학생 또는 졸업생이 아니면 구할 수 없는 모델이기에 구하는 글을 올렸었는데요, 어떤 분께서 연락이 오셔서 구매하기로 하였습니다.첫 거래 때에는 2024 추석이었으며 도복 한 벌 15만원을 카카오톡으로 입금해드렸습니다.다음 날 택배로 보내주신다고 하여 보내드렸고, 후에 한 벌 더 받는 조건으로 5만원 추가 입금해드렸습니다.근데 일주일이 지나도 택배가 오지 않아 연락드렸는데, 병원이라 보내지 못했다고 오늘 안에 보내겠다고 연락이 왔습니다.이후에 어머니 병원에 찾아가야한다며 5만원만 빌려줄 수 있겠냐해서 다시 돌려준다고 하여 입금해드렸습니다.저도 받아야하는 시간이 있어 -시 전에만 입금해주세요 했더니 그 시간안엔 된다면서 제 시간 안에 입금이 오지 않아 난처한 상황도 많이 발생했습니다.결국 한 달이 지나도 도복을 받지 못했고 입금한 도복 값이랑 빌려드린 돈 25만원을 다시 이체해달라고 했습니다.그 돈도 오늘 안엔 이체하고, 늦어 죄송하다며 도복 한 벌은 꼭 챙겨드린다고 했습니다.도복 받을 생각은 전혀 하지 않고 있었습니다만 이체도 한 달 반이 넘은 11월에 드린 돈 모두 돌려받게 되었습니다.이후에도 도복을 꼭 챙겨주겠다며 얼마만 이체해달라해서 이체하고 아예 못받아 다시 돌려받는 일이 많아졌습니다.심지어는 도복을 직접 가져다준다며 택시비를 빌려달라해놓고 도복은 한 벌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제가 해외에 나갈 일이 많아져 환전할 돈을 드리고 해외 나가기 전까지만 돌려달라 하였는데, 입국한 아직까지도 못받은 돈이 15만원이며 도복은 역시 한 벌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작년 추석부터 지금까지 사람가지고 장난치는건지 돈 빌려주는 기계로 생각하는건지 이건 아니다 싶어 도움 구합니다.현재 카톡으로 연락중이며 이름이랑 소속정도 알고있습니다(엘리트 선수인 듯 합니다)이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알려주세요.제가 아직 고등학생이라 신고나 고소 이런 절차를 하나도 몰라 우선적으로 도움 구합니다.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nt
1. 증거 정리하기 (가장 중요)
먼저, 상대방이 돈을 받아놓고 물건을 보내지 않거나 돌려주지 않은 증거를 최대한 확보해야 합니다.
✔ 카톡 대화 캡처
돈을 보냈다는 내용
상대방이 도복을 보내겠다고 한 약속
빌려준 돈을 돌려주겠다고 한 내용
택시비나 해외 환전 관련 메시지
✔ 입금 내역 확보
계좌이체 내역 (은행 앱에서 캡처 가능)
상대방의 계좌번호 기록
✔ 상대방 정보 정리
이름, 대학 소속 (확실하지 않아도 알고 있는 범위에서)
프로필 사진, 연락처
2. 부모님 또는 선생님께 도움 요청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부모님이나 신뢰할 수 있는 어른(선생님 등)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등학생 신분에서는 부모님이 직접 경찰서에 가서 신고해야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3. 경찰 신고 (사기죄)
사기죄(형법 제347조)는 속여서 돈을 빌리거나 물건을 보내지 않은 경우 성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찰에 신고하면 고소 없이도 수사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신고 방법
1. 경찰서 방문 신고
가까운 경찰서(지구대, 파출소) 방문
"사기 피해를 봤다"고 말하고 증거 제출
2. 온라인 신고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사이버범죄 신고 사이트 접속
‘사이버 사기’ 신고 접수
신고하면 경찰이 연락하여 조사 진행 후 상대방에게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4. 소액 민사소송 (돈 돌려받기)
돈을 돌려받기 위한 법적 절차로 소액심판청구(소액 재판)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5만 원은 적은 금액이지만, 계속 빌려주고 돌려받는 상황이라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크므로 강경 대응이 필요합니다.
✔ 진행 방법
가까운 법원(지방법원) 방문 후 소액심판청구 접수
본인 신분증과 증거(입금 내역, 카톡 대화 등) 제출
상대방에게 법원에서 출석하라고 연락함
5. 내용증명 발송 (압박)
만약 신고 전 마지막으로 강하게 압박하고 싶다면 내용증명을 보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내용증명은 "법적 대응을 하겠다"는 경고장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내용증명 작성 내용
"귀하는 총 ○○원을 빌려갔으나 반환하지 않고 있음"
"○월 ○일까지 입금하지 않을 시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
우체국 내용증명 서비스 이용 가능
내용증명을 받으면 상대방이 겁을 먹고 돈을 돌려줄 가능성이 큽니다.
이상 질문자의 내용을 보고 계략적으로 설명드렸으며,
증거수집, 도움요청, 신고가 현재로써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